[경제용어] 기축통화(key currency)

여러분들은 해외 여행을 가서 사용하려고 그 나라의 화폐로 환전을 해 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많은 나라가 자국의 화폐 대신 달러를 받아주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심지어 달러를 사용하는 나라도 있습니다. 그만큼 달러의 국제적인 ‘지위’가 높다는 의미입니다. 이처럼 해외 금융거래에서 널리 사용되는 화폐를 기축통화라고 합니다.

key-currency


기축통화에 대한 설명

“달러로 계산이 가능합니까?”

다른 나라에 여행을 가서 물건을 사거나 식당에서 음식값을 지불할 때 위와 같이 묻는 경우가 있습니다. 왜 그 나라의 화폐가 아닌 달러로 계산하는 것을 받아주거나 반기는 것일까요? 달러로 대신 받아도 충분히 거래상의 이익이 있고, 다시 환전할 때 손해가 없을 것이라는 신뢰가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처럼 화폐의 본질은 ‘신뢰’입니다.

전 세계에서 통용되는 화폐의 수는 180여 종에 이릅니다. 다양한 국가와 다양한 민족이 존재하는 만큼 거래 수단으로서의 화폐의 종류도 다양합니다. 그 중에서도 거래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화폐는 단연 ‘달러’입니다. 달러는 국제 거래에서 결제 비중이 약 40%에 이를 정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 세계 국가들이 보유하고 있는 외환의 60%가 달러입니다. 이처럼 국제간의 시장에서 금융거래나 결제의 기본이 되는 화폐를 ‘기축통화’라고 합니다.

앞서 화폐의 본질은 신뢰라고 언급했습니다. 미국의 달러화가 기축통화로서 지위를 인정받는 것은 미국이라는 나라를 신뢰하기 때문입니다.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군사력이 강한 국가이며 경제적으로도 대국이라는 인식이 보편적이기에, 미국이 발행하는 화폐인 달러도 믿을 수 있는 것입니다.


달러가 기축통화가 된 역사

변동환율제 이전에는 화폐의 단위를 일정량의 금 가치에 결부시킨 금본위제(금본위제 용어해설 바로가기)가 널리 시행됐습니다. 금은 그 자체만으로도 희귀성을 가지고 있고 휴대하기도 쉬워 거래수단으로서의 기능이 우수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이나 경제 위기 등 혼란한 상황에서도 가치를 유지할 수 있어 19세기 영국을 시작으로 독일, 프랑스, 덴마크 등 주요 국가들이 금본위제를 도입했습니다.

2차 세계대전 종전 무렵 패권국으로 부상한 미국은 브레턴우즈라는 도시에서 연합국 대표들이 모여 세계경제질서 확립을 위한 회의를 개최하게 됩니다. 이 때 미국은 금 1온스를 35달러로 고정시키고 각국의 화폐를 달러와 연동시키는 제안을 통과시킵니다. 미국을 세계 경제의 중심으로 만든 금본위제가 시작된 것입니다. 이 체제에서는 달러를 사용해야만 금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세계 각국은 금으로 교환하기 위한 달러를 비축하기 시작했고 바야흐로 달러가 ‘기축통화’가 된 기점이라 하겠습니다.


맺음말

미국이 금본위제를 포기하고 변동환율제가 자리 잡으면서 달러를 무제한으로 발행할 수 있게 됩니다. 실제로 금융위기나 코로나19(COVID-19) 유행 이후로 양적완화를 시행하며 세계 각국에 풀린 달러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형성되기도 했습니다. 달러의 위상이 흔들리면서 언제까지 기축통화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중국이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만들기 위해 디지털 위안화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디지털화폐(CBDC) 운용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검토하고 있습니다. 달러의 기축통화 자리는 언제든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