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경상수지(Balance on Current Account)

경상수지를 구성하는 상품수지 수출입의 예시 이미지


예전 어르신들은 ‘수지 맞았다’ 는 표현을 많이 했습니다. 장사나 사업을 할 때 이익이 남았다는 말입니다. 들어온 돈과 나간 돈을 따져보니(수지타산) 자신이 예상한 이익에 맞아 떨어졌다는 의미겠죠.

경상수지는 국내에서가 아닌 해외에서 발생한 수입과 지출의 차이를 뜻합니다. 즉 국제적인 거래 관계에서 벌어들인 돈과 나간 돈의 차액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한 국가의 국제 거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인 것이죠.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가정에서의 수입과 지출을 생각해 봅시다. 월급을 받음으로써 수입을 얻고 생활에 필요한 지출을 하게 됩니다. 마이너스통장이나 현금서비스를 통해 무리한 지출을 하게 되면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져 빚이 생깁니다. 이를 ‘적자’라고 합니다. 반대로 월급보다 지출이 적었다면 잔액이 남아 ‘흑자’입니다. 이와 같이 국가의 경상수지도 외국에서의 지출과 수입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상품이나 서비스의 수출이 수입보다 많으면 경상수지 흑자, 수출보다 수입이 많으면 경상수지 적자라고 합니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경상이전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래에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품수지(무역수지)

상품수지는 국내에서 생산한 물건을 수출해 벌어 들인 돈(수출액)과 외국 물품의 수입을 통해 나간 돈(수입액)의 차이입니다. 관세청에서는 우리나라의 관세구역 통과를 기준으로 수출입을 계산하기 때문에 국제수지표상의 수치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서비스수지

서비스수지는 물품을 제외한 외국과의 서비스 거래를 통해 벌어 들인 돈과 지급한 돈의 차이를 말합니다. 외국인의 우리나라 항공기나 선박, 수송기 등을 이용하고 지불한 운임이나 외국관광객이 우리나라에서 쓰고 간 외화 등이 서비스 수입이 됩니다. 반대로 우리나라 사람이 외국 국적 항공기를 이용하면서 지불한 항공권이나 해외 관광 비용은 서비스 지급이 되겠죠.


소득수지

외국인 근로자가 우리나라에서 일하면서 받은 급여와 우리나라 사람이 해외 회사에서 근무하며 받은 돈의 차이를 소득수지라고 합니다. 내국인이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하여 받은 배당금이나 투자수익을 외국인이 국내에 들어와 벌어 들인 배당금 등 투자수익과 비교하여 계산한 것도 소득수지입니다.


경상이전수지

경상이전수지는 물건이나 서비스를 사고 파는 것이 아닌, 서로간의 아무런 이득 관계 없이 해외에 있는 사람과 주고받은 수지차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해외 유학 중인 자식에게 송금하는 학비나 재난 시 주고 받는 구호물자가 있겠습니다.


경상수지 흑자와 적자

경상수지 흑자는 위에서 설명한 상품과 서비스 등의 수출이 활발하여 국제 거래에서 이익을 내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익이 늘어나니 생산도 늘어나고 그에 따른 고용도 확대되면서 국민들의 소득 수준 또한 높아지게 됩니다. 반대로 경상수지 적자는 수출과 수입을 비교해봤을 때 나가는 돈이 더 많다는 뜻이므로 손해를 보고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이는 국가 경제가 위험해질 수 있다는 신호이므로 경계해야 합니다.

그렇다고 경상수지 흑자가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닙니다. 경상수지 흑자를 통해 유입된 해외자본은 인플레이션을 초래하거나 환율이 하락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며 이것이 지나치게 축적되면 자산이나 부동산에 거품이 형성됩니다. 또한 적절한 경상수지 적자도 해외로부터 투자를 유치하거나 자원을 끌어들일 수 있으므로 경제 발전에 도움을 줍니다. 결국 경상수지는 균형을 이루며 적정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